트럼프 취임식에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 파리 협정 탈퇴 + 풍력 전면 중단 그리고 제조업 중심 사회까지 _ 2편
![](https://blog.kakaocdn.net/dn/bOHAhn/btsL1Uz3Qct/HxyLOEDy80ejIPKtK7k5yk/img.png)
파리 협정 탈퇴 + 풍력 전면 중단
취임 당일 파리 협정 탈퇴 및 "우리는 풍력발전을 하지 않을 것"
풍력발전은 가장 비싼 에너지이며 대부분이 중국산이다.
풍력발전은 크고 흉하고 비싸며, 야생동물에도 해를 끼친다.
트럼프는 취임식을 한 날
바로 파리 기후변화 협정 탈퇴 및 유엔에 보낼 탈퇴 서한에 서명했다.
파리 기후 변화 협정은
2015년 파리에서 진행한 유엔기후변화협의 회의에서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자는 합의에 대한 것인데,
탈퇴한다는 것은 곧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이겠다는 말을 지키지 않겠다는 뜻이고,
합의량을 넘어서 쓰고 싶은 만큼 사용겠다는 이야기다.
사실은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시절에 이미 파리 협정에 탈퇴했었고,
바이든 대통령 시절에 다시 가입하며,
풍력발전을 비롯한 재생에너지를 정책적으로 밀었다.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전정부 정책 뒤집기이기도 하다.
그 타깃중에 가장 명확한 것이 풍력발전으로 명확하게 미국에서 앞으로 4년간 풍력발전은 없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화석연료 맘대로 쓸거라고 세계에 선포한 것이고, 바이든 정부 때 했던 풍력발전 안한다는 것이다.
제조업 중심 사회
“미국은 다시 제조업 강국이 될 것”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다시 제조업 강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에 대한 발언에 바로 이어져 나왔다.
사실 에너지와 엄청 관련있지는 않아서 가볍게만 다룰 내용이다.
어떤 연관이 있는 걸까?
아래를 통해 설명을 볼 수 있다.
일단 제조업에 대한 이야기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전부터 계속 언급했던 관세에 대한 이야기이다.
앞서 풍력발전을 전면 중단하는 것도, 풍력발전의 모든 장비를 중국제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 산업에는 도움이 안되고, 중국만 좋은 일 시키는 것이라 판단 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해서 자국에서 일어나는 제조를 활성화 시키고,
세계로 수출시키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면 미국이 강한 산업이나 미국이 강해질 수 있는 산업군에 투자하겠다는 것이고
관련산업의 공장을 더 많이 짓고 많이 돌려야 하니 에너지가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자동차 산업, 각종 가전제품등 첨단에서 간단까지의 여러 제조업분야가 있다.
또 발언에는 적지 않았지만 취임사 내용중에 아주 약간 나온 내용인데,
미국은 글로벌 IT기업이 많고, 다뤄야 할 데이터도 어마무시하게 많다.
그리고 AI 산업을 잘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보관 유지가 중요하고,
그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걸 염두하고, 에너지와 제조업을 엮은 것이고, AI 및 데이터 센터까지도 바라본 것이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다음 주제인 화석연료와 원자력으로 이어집니다.
이 시리즈의 다른 글
1. 취임식 발언 심층 분석, 에너지 비상사태란? | 2025.01.28 - [기초에너지] - 트럼프 취임식에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 발언 심층 분석, 에너지 비상사태에 대해 알아보기 _ 1편 |
2. 파리 협정 탈퇴, 풍력 전면 중단 그리고 제조업 중심사회에 대해 | 2025.01.30 - [기초에너지] - 트럼프 취임식에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 파리 협정 탈퇴 + 풍력 전면 중단 그리고 제조업 중심 사회까지 _ 2편 |
'기초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희토류 패권이 글로벌 에너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7 |
---|---|
GE 버노바(GE Vernova)분석 및 투자 전략 공개(복기) (0) | 2025.01.30 |
트럼프 취임식에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 발언 심층 분석, 에너지 비상사태에 대해 알아보기 _ 1편 (1) | 2025.01.28 |
세계 석유 매장량 순위별 특징과 생산 현황 10위까지 (2) | 2025.01.24 |
셰일 오일의 생산 속도가 더 빠른 이유 (0) | 2025.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