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글로벌 바이오시장에서의 입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바이오 주식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의 바이오 회사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한국에서 시가총액 기준으로 네 번째로 큰 기업으로, 시총은 약 77조 원에 달합니다.
글로벌 바이오헬스 기업 중에서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10위권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엄청난 규모의 바이오 기업중 하나인 셈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에 설립된 삼성 그룹 산하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인천 송도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과 세포주 및 공정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개발(CDO) 사업이 있습니다.
그리고 글로벌 제약사인 화이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등지로의 진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총 60.4만 리터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4월 완공을 목표로 18만 리터 규모의 5공장을 증설 중입니다. 이로써 단일 기업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글로벌 빅파마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삼성바이오로직스는 GSK, 화이자, 일라이 릴리,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연이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며, 약 반년 만에 누적 수주 금액 2조 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에는 창립 이래 최초 연 누적 수주액 5조원 돌파했습니다.
또한 작년 대비 증가한 매출과 영업이익이 주가를 뒷바침 해주고 있습니다
연간 매출: 4조 5,473억(작년 대비 23%증가)
영업이익: 1조3,201억(작년 대비 18%증가)
그렇지만
결국 제약회사들은 회사를 대표하는 캐쉬카우 제품들이 있습니다.
노보노디스크의 오젬픽, 화이자의 비아그라, 일라이 릴리의 시알리스,젭바운드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을 하는 기업이기에 그러한 대표적인 제품은 없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 라는 신약개발을 위한 자회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로 바이오의약품의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인게 한계점이기도 합니다.
또한 다른 나라 바이오 기업들에 비해서 고평가를 받고 있고 단기간에 상승한게 국내 바이오 주식들인 점도 명심하셔야합니다.
'바이오 산업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 일라이릴리 젭바운드 비교 (성능, 부작용, 매출, 시장지배력) (1) | 2025.02.09 |
---|---|
2025년 독감 치료제 & 예방 백신 기업 총정리 (0) | 2025.02.08 |
30년 연평균 수익률 30% 드라켄밀러가 투자한 기업 나테라(NTRA) (0) | 2025.01.26 |
글로벌 제약회사들 빅 파마(Big Pharma) (1) | 2025.01.15 |
댓글